RESTful API를 사용하는 네트워킹 통신을 공부하다보니, 네트워크 추상화 단계에 URL을 별도로 처리하는 코드가 있어 궁금증이 들었다. 1. 왜 URL을 별도로 처리해야하는가? 2. URLComponents, URLQueryItem 타입들은 각각 무슨 용도이며, 어떻게 사용되는가? 무조건 공식문서부터 확인했지만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. 따라서 위 궁금증에 답을 하기 위해서 먼저 기초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. 1. URL 먼저, URL의 개념을 알기 전 URI를 확인하고 넘어가야했다. URI는 우리말로 통합 자원 식별자를 칭한다. 즉, URI는 인터넷 상의 리소스 '자원 자체'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. URL은 인터넷 상의 리소스가 존재하는 '위치'를 나타내기 위한 규약이다. 즉, URL은 '..